MapleLegends/TIP

Mule 이용 시 클라이언트 간 빠른 화면 전환

VEGEMILL 2022. 1. 22. 16:26

울루2에서 자쩔을 시작하고 메소도 같이 벌 겸 필요한 뮬을 세봤는데..

 

HB(뻥뮬), HS(심뮬), MU(메업뮬) 무려 3개의 뮬이 필요했다. 쩔 하는 캐릭터와 경험치를 먹는 2개 캐릭터까지 포함하면 6개의 클라이언트(..)를 실행해야 했으며 경험치를 먹는 2개 캐릭터를 제하더라도 나머지 클라이언트 4개 화면을 알트 탭으로 화면 전환하는 것은 너무나 귀찮았고 부담이었다.

 

그래서 구글링과 포럼 가이드를 찾아보며 오랜 시행착오를 겪은 결과, 두 가지 방법이 있었다.

 

이 글은 유저들의 시행착오 방지를 위해 그 두 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1. 윈도우 로고키와 숫자 키를 이용한 빠른 화면 전환(모든 클라이언트를 창모드로 실행해야 함.)

 - 포럼의 Holp라는 분이 소개한 방법인데 이 방법을 쓰면 1초도 안 되는 시간에 버프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https://imgur.com/gwbCezn

(사용 예시)

 

포럼 게시글을 간단히 번역하고 팁을 추가한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영어를 잘한다면 포럼의 게시글을 직접 봐도 좋다.

https://forum.maplelegends.com/index.php?threads/guide-quick-client-tabbing-for-windows.36573/ 

 

 

 

 

Step A. 첫 번째로 해야할 일은 클라이언트 폴더 내에 있는 MapleLegends.exe 파일을 필요한 뮬의 개수만큼 복사하는 것이다.

사진처럼 .exe 파일의 이름만 바꿔주면 된다. 이름은 아무렇게나 해도 상관없는데 이것을 해야하는 이유는 윈도우에서 같은 앱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위 작업을 하고 각각 실행했을 때, 작업표시줄을 확인해보면 된다.

 

(틀린 예시) 똑같은 이름의 .exe 파일을 실행했을 때 한 개의 앱으로 인식되어 중복실행된 것으로 보인다.

 

 

(올바른 예시) 이름을 변경시켜둔 .exe 파일로 실행했을 때 각각의 앱으로 실행된 것으로 보인다.

 

 

 

 

 

Step B. 두 번째로 해야할 일은 Mule 캐릭터들의 키보드 단축키를 설정하는 것이다.

ML 포럼 Holp님의 사진

 

1: 모두에게, 2: 친구에게 .... 이런 식의 단축키가 기본 설정인데 모든 Mule 캐릭터들에 대해서 실행한 Mule 클라이언트의 개수만큼 키보드 단축키를 없애주면 된다. 이걸 해야하는 이유는 화면 전환을 할 때 '윈도우 로고키 + 숫자' 이런식으로 하게 되는데 클라이언트 내에서 숫자 키를 누르면 채팅창이 활성화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Mule의 버프 스킬(ex: 홀심, 메업, 피뻥 등) 단축키를 ` 키에 등록하는 것이다. 이건 개인에 따라 편한 키로 하면 된다. 하지만 '윈도우 로고키 + 숫자'로 화면 전환을 할 때 버프를 써야하기 때문에 숫자와 가까운 ` 키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Steb C. 세 번째로 해야할 일은 실행한 클라이언트들을 작업표시줄에서 순서를 바꿔주는 것이다.

 

이건 포럼 게시글에 따로 설명되어 있지는 않은데 이걸 안하면 '윈도우 로고키 + 숫자'로 화면 전환을 할 때 원치 않은 작업표시줄의 프로그램으로 화면이 전환되기 때문에 순서를 맞춰줘야 한다.

 

(틀린 예시) 작업표시줄이 위 사진과 비슷하다면 '윈도우 로고키 + 숫자'로 화면 전환을 할 때 3번부터 시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올바른 예시) 작업표시줄에서 순서를 바꿔두면 '윈도우 로고키 + 숫자'로 화면 전환을 할 때 편리하다.

 

 

필자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면,

 

작업표시줄 1번의 클라이언트는 메인 클라이언트,

작업표시줄 2번의 클라이언트는 HS(홀심),

작업표시줄 3번의 클라이언트는 MU(메업)

 

1번 클라이언트 화면을 켜둔 상태에서 '윈도우 로고키 + 2' 누르고 ` 키를 누르면 HS 사용,

'윈도우 로고키 + 3' 누르고 ` 키를 누르면 MU 사용, '윈도우 로고키 + 1'을 누르면 다시 1번 클라이언트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윈도우 로고키를 꾹 누르고 숫자 키와 ` 키를 누르면 순식간에 버프를 전부 사용할 수 있다.

간략히 해보면 윈도우 로고키를 누른 상태에서 3 ` 2 ` 1 키를 순서대로 눌러주면 된다.

 

 

 

P.S.

Mule 클라이언트의 해상도만 800x600으로 하고, 메인 클라이언트의 해상도만 1366x768로 설정할 수도 있다.

MapleLegends 클라이언트 폴더를 그대로 복사해서 복사한 클라이언트의 해상도만 조절해주면 된다.

 

 

 

 

 

 

 

 

2. VMware를 이용한 방법(VMware Workstation 프로그램 설치 필요)

 - 이 방법은 사실 화면 전환을 빠르게 하는 방법이 아니고 여러 대의 컴퓨터나 노트북을 이용하거나 VMware로 화면 전환 없이 빠르게 버프를 쓸 수 있는 방법이다.

MapleRoyals 포럼에서 소개하고 있는 방법인데 원래는 여러 계정으로 보스를 갈 때 공격을 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한다. 이 사람은 여러 대의 노트북을 사용하길 권장하는데 본컴 + 노트북(각각 외부 키보드 필요) 구성으로 플레이한다고..

 

대단한 열정이다. (onekeystory from MapleRoyals forum)

 

저렇게 세팅을 해두면 발가락으로 버프를 순식간에 써버릴 수 있다. 뮬 캐릭터들의 스페이스바 키에다가 버프 키 등록을 해두고 발가락으로 스페이스바를 누르는 식..

(???: 게임 발로 하냐?? 네)

 

차마 저렇게까지는 못하겠다싶거나, 노트북을 따로 마련할 여력이 없으면 VMware를 이용하면 된다.

 

VMware는 알다시피 가상 머신을 구동시켜 주는 프로그램인데 이 방법도 외부키보드가 필요하다. 다만 컴퓨터가 한 대만 필요해서 여유 키보드가 하나라도 있다면 시도해볼만 하다.

 

방법은 VMware로 구동한 가상 윈도우 환경에서만 외부키보드를 작동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도 필자가 시도해봤는데 정상적으로 작동은 되고 발가락 스페이스바 한 번에 알트 탭 없이 클라이언트 부담을 한 개라도 줄여주니 좋았다. USB 키보드, 무선 키보드 전부 가능하다. 하지만 이 방법은 본 게시물에서 소개하기에 너무 장문복이므로 링크만 따로 남겨둘 것이다.

 

https://mapleroyals.com/forum/threads/comprehensive-guide-on-how-to-multi-attacking.195315/

 

 

 

그런데 애초에 목적이 2개 이상의 버프를 단숨에 혹은 알트 탭 없이 쓰는 것이었는데... VMware로 구동한 가상 윈도우에서 메이플 클라이언트를 2개 이상 키면 결국엔 거기서 알트 탭을 하고 버프를 써야한다. 그래서 찾아본 것이 Mouse without borders라는 마이크로소프트의 무료 프로그램이다. 해당 프로그램은 한 컴퓨터에서 입력한 모든 키보드/마우스 신호를 다른 여러 컴퓨터에도 똑같이 보내준다. 다만, 이건 매크로의 영역 같아서 포럼을 찾아봤는데 Mouse without borders 프로그램에 관한 내용은 한 개도 없었다. 그러나 와우클래식, 로스트아크, 본 메이플 등에서 사용되는 것을 보면 여러 컴퓨터를 돌려서 소위 말하는 '쌀먹'을 하는 작업장에서 주로 쓰는 것 같았다. 와우 클래식에서는 전면 금지했고 로스트아크나 메이플 본섭에서는 따로 염두하고 있지는 않는 것 같다. 중요한 건 MapleLegends에서 이용할 수 있느냐인데..

 

대충 내가 생각한 방법을 적어보자면.

 

 

1. 컴퓨터 사양만 된다면 VMware로 독립된 윈도우 환경을 여러 개 실행할 수 있다.

(Mule 캐릭터가 3개라면 3개의 독립된 윈도우 구동 후 각각 클라이언트 실행)

 

2. 3개의 윈도우 전부에 단일 외부키보드만 인식되도록 설정

(이러면 본컴 키보드의 입력 신호를 VMware로 구동한 가상 OS에서 받지 않음)

 

3. Mouse without borders 프로그램을 이용해 가상 OS 3개 중 한 개의 OS를 메인 컴퓨터로 설정, 나머지 2개의 가상 OS는 서브 컴퓨터로 설정

 

4. Mouse without borders 프로그램에서 메인 컴퓨터로 설정한 가상 OS에서 버프 스킬을 쓰면 나머지 가상 OS에서도 전부 버프 스킬 자동으로 사용됌.

 

5. 외부키보드를 책상 아래 둬서 발가락으로 키 한 번만 눌러주면 모든 버프가 한 번에 사용되는 편리함의 극치를 맛본다.

 

이 방법은 해놓기만 하면 정말 편리할 것 같은데.. 메이플 하나 하는데 VMware로 가상 윈도우 환경을 3개나 구동시켜야 한다는 단점이 있고, 그 3개 윈도우 환경을 VMware로 설치하는 데만 많은 시간이 걸린다. 끽해봐야 반나절 정도겠지만..